1. 기본 작성요령
- 가. 원고 투고 및 작성요령에 따라 작성되지 않은 원고는 지적사항이 즉시 반영되어 재투고가 이루어질 때까지 심사를 보류한다. 편집위원회는 게재가 확정된 원고의 형식에 수정을 가할 수 있다.
- 나. 언어: 본문은 국문, 중문, 일문, 영문, 노문 가운데 하나를 사용하되,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다른 언어도 사용할 수 있다. 제목, 필자 성명 및 소속·직위, 초록, 주제어 5개는 본문 언어 및 본문과 다른 언어로 작성되어야 한다.
- 다. 기본형식: 본문은 글자 크기 10, 각주는 글자 크기 9, 나머지는 한컴오피스 한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기본형식
- 라. 장, 절, 소절: 로마자 숫자(I., II., …), 아라비아 숫자(1., 2., …), 가나다(가., 나., …)순으로 한다.
- 마. 표: 표 위에 <표 번호> 표 제목을 기재한 후 각주로 출처를 표기한다.
- 바. 그림: 그림 위에 <그림 번호> 그림 제목을 기재한 후 각주로 출처를 표기한다.
- 사. 사사: 연구비 지원 또는 초고 발표 사실 등을 원고 1쪽의 각주란에 별표를 표기한 후 기재할 수 있다.
- 아. 고유명사의 원어 표기: 처음 등장할 때만 괄호 안에 병기할 수 있다. 이후에는 병기하지 않는다.
- 자. 인용문: 문장은 큰 따옴표 안에 넣고, 구문 또는 단어는 작은 따옴표 안에 넣는다.
- 차. 외국어 및 외래어 한글 표기: 국립국어원 외국어 및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- 카. 원고 수정 절차: 투고 이후 심사를 거쳐 게재가 확정되면 필자는 최종 수정본을 제출한다. 편집위원회는 최종 수정본을 편집한 1차 편집본을 필자에게 보내고, 필자의 검토를 거쳐 수정된 최종편집본을 발간한다.
2. 각주 및 참고문헌 작성요령
- 가. 공통사항
- 1) 각주 및 참고문헌 작성요령은 동일하나, 참고문헌에서는 쪽 번호를 생략하고 마지막에 마침표를 기재한다.
- 2) 참고문헌은 먼저 국문, 중문, 일문, 영문, 노문 순으로 정렬하고, 같은 언어 문헌에서는 단행본 및 연구보고서,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, 정기간행물 기고 및 기사, 인터넷 자료 순으로 정렬한다. 같은 종류의 문헌에서는 최근 출판 및 발간물부터 차례로 정렬한다.
- 나. 국문, 중문, 일문 문헌
- 1) 단행본 및 연구보고서
- 저자명, 『도서명』 (출판지: 출판사, 출판연도), p. 쪽 번호.
- - 연구보고서도 ISBN이 부여된 경우, 단행본으로 취급한다.
- - 저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, 쉼표 표기 후 저자명을 차례로 기재한다.
- - 저자가 세 명 이상일 경우, 첫 번째 저자명 기재 후 ‘외’를 표기하고 나머지 저자명을 생략할 수 있다.
- - 편자가 따로 있는 경우, 편자명 기재 후 ‘(편)’을 표기한다.
-
- <예 1> 백준기, 『유라시아 제국의 탄생』 (서울: 홍문관, 2014), p. 30.
- <예 2> 박상남, 이종문, 박정호, 김선래, 『푸틴의 러시아』 (파주: 한울, 2007), pp. 19-20.
- <예 3> 윤성욱 외, 『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엇갈리는 세계』 (서울: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, 2022), pp. 3-10.
- 2)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 시리즈
- 저자명, “논문 또는 연구보고서 제목,” 『학술지명 또는 연구보고서 시리즈명』 권 번호-호 번호(출판연도), p. 쪽 번호.
- - 저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, 쉼표 표기 후 저자명을 차례로 기재한다.
- - 저자가 세 명 이상일 경우, 첫 번째 저자명 기재 후 ‘외’를 표기하고 나머지 저자명을 생략할 수 있다.
-
- <예 1> 제성훈, “탈냉전기 러시아-몽골관계의 변화: 지정학적 ‘완충국’ 개념을 중심으로,” 『국제정치논총』 50-2(2010), p. 170.
- <예 2> 최필수, “시진핑의 권력 강화 분석 – 개발독재와 관리독재,” 『Acta Eurasiatica』 9-1(2018), pp. 5-6.
- <예 3> 박정호, 정민현, 김초롱, “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사임과 카자흐스탄 정국 전망,” 『KIEP 세계경제 포커스』 2-6(2019), p. 3.
- 3) 정기간행물 기고 및 기사
- 필자명, “제목,” 『정기간행물명』 (발행 연도. 월. 일).
- - 기사 또는 필자명을 기재하기 어려운 경우, 이를 생략할 수 있다.
-
- 예 1) 제성훈, “얄타, 몰타, 그리고 크림반도,” 『서울신문』 (2015. 3. 17).
- 예 2) “북, 대화 지속 메시지 내놓을까…‘중·러와 밀착’ 새 길 찾을까,” 『경향신문』 (2019. 3. 25).
- 4) 이미 인용한 문헌을 다시 인용할 경우
- - 직전에 인용한 경우, Ibid., p. 쪽 번호.
- - 그 외의 경우, 저자명 또는 필자명, op. cit., p. 쪽 번호.
- 5) 번역된 단행본을 인용할 경우
- 저자명(역자명 역), 『도서명』 (출판지: 출판사, 출판연도), p. 쪽 번호.
-
- <예> 예브게니 프리마코프(김석환 역), 『테러리즘과 세계정치』 (서울: 랜덤하우스코리아, 2005), p. 203.
- 6) 재인용할 경우
- - 인용할 문헌을 위 양식에 따라 기재하고, 콜론 표기 후 인용할 문헌이 인용한 문헌을 위 양식에 따라 기재한다.
-
- <예> 예브게니 홍, 신범식, “중국의 중앙아시아 전략과 중국-카자흐스탄의 경제협력: 현황과 전망,” 『아시아리뷰』 4-2(2015), p. 192; 조정원, “201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협력,” 『Acta Eurasiatica』 8-1(2017), p. 59.
- 다. 영문, 노문 문헌
- 1) 단행본 및 연구보고서
- 저자명(성, 이름), 도서명(이탤릭체) (출판지: 출판사, 출판연도), p. 쪽 번호.
- - 연구보고서도 ISBN이 부여된 경우, 단행본으로 취급한다.
- - 저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, 쉼표 표기 후 저자명(이름 성)을 차례로 기재한다.
- - 저자가 세 명 이상일 경우, 첫 번째 저자명 기재 후 ‘et. al.’를 표기하고 나머지 저자명을 생략할 수 있다.
- - 편자가 따로 있는 경우, 편자명 기재 후 ‘(ed.)’를 표기하고 나머지 저자를 생략할 수 있다. 편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, ‘(eds.)’를 표기한다.
-
- <예 1> Spykman, N. J., The Geography of the Peace (New York: Harcourt, Brace & World, Inc., 1944), p. 43.
- <예 2> Зонн, И. С., С. С. Жильцов, Арктическая гонка: захватить и разбурить (Москва: Восточная книга, 2013), pp. 16-17.
- <예 3> Cadier, David, Margot Light(eds.), Russia’s Foreign Policy: Ideas, Domestic Politics and External Relations (Basingstoke: Palgrave Macmillan, 2015), p. 13.
- 2)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 시리즈
- 저자명(성, 이름), “논문 또는 연구보고서 제목,” 학술지명 또는 연구보고서 시리즈명(이탤릭체) 권 번호-호 번호(출판연도), p. 쪽 번호.
- - 저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, 쉼표 표기 후 저자명(이름 성)을 차례로 기재한다.
- - 저자가 세 명 이상일 경우, 첫 번째 저자명 기재 후 ‘et. al.’를 표기하고 나머지 저자명을 생략할 수 있다.
-
- <예 1> Mackinder, H. J., “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,” The Geographical Journal 23-4(1904), pp. 421-437.
- <예 2> Истомин, А., К. Павлов, В. Селин, “Экономика арктическойзоны России,” Общество и экономика 7(2008), p. 161.
- 3) 정기간행물 기고 및 기사
- 필자명, “제목,” 정기간행물명(이탤릭체) (발행 연도. 월. 일).
- - 기사일 경우, 필자명을 생략할 수 있다.
-
- <예> “Suddenly, A Wider World Below the Waterline,” The Economist (2009. 5. 14).
- 4) 이미 인용한 문헌을 다시 인용할 경우
- - 바로 위에서 인용한 경우, Ibid., p. 쪽 번호.
- - 그 외의 경우, 저자명 또는 필자명, op. cit., p. 쪽 번호.
- 5) 재인용할 경우
- - 인용할 문헌을 위 양식에 따라 기재하고, 콜론 표기 후 인용할 문헌이 인용한 문헌을 위 양식에 따라 기재한다.
3. 인터넷 자료
- 필자명, “자료 제목,” 인터넷 주소 (검색일: 검색연도. 월. 일).
- - 필자명을 기재하기 어려운 경우, 이를 생략할 수 있다.
-
- <예 1> “거문도 사건,” http://contents.history.go.kr (검색일: 2018. 3. 16).
- <예 2> CIA, “The World Factbook,” https://www.cia.gov/library/publications/the-world-factbook (검색일: 2019. 2. 22).
- <예 3> “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f 10 December 1982,” http://www.un.org/depts/los/convention_agreements/convention_overview_convention.htm (검색일: 2019. 2. 22).
4. 인터뷰
- 인터뷰 대상자와 소속 및 직책 (인터뷰 장소, 인터뷰 연도. 월. 일).
- - 외국인일 경우, 괄호 안에 외국어 병기를 허용한다.
- - 서면인터뷰일 경우, 인터뷰 장소 대신 ‘서면’을 표기한다.
-
- <예 1> 황진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해사연구본부 본부장 인터뷰 (부산, 2019. 3. 25).
- <예 2> 알렉산드르 소콜로프(Alexander Sokolov) 야로슬라블국립대 공공정책학과장 인터뷰 (서울, 2019. 2. 24).
- <예 3> 세르게이 루코닌(Sergey Lukonin) 러시아학술원 프리마코프 세계경제·국제관계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 인터뷰 (서면, 2020. 8. 31).